새를 기르는 데에는 새의 모이로써 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새가 좋아하지 않는다. 옛날에 노(魯) 나라에 해조(海鳥)가 한 마리 날아왔다. 진귀한 새가 왔다고 해서 노후는 이 새에게 음악을 들려주고 사람이 먹는 맛있는 음식을 주었다. 그러나 새는 조금도 좋아하지 않고 맛있는 음식도 입에 대지 않고 사흘 만에 죽고 말았다. 뜻(志)이 높은 선비(士)는 단지 높은 지위나 녹만으로 맞아들일 수는 없는 것이다. -장자 오늘의 영단어 - anti-air post : 대공초소오늘의 영단어 - struggle : 버둥거리다, 애쓰다, 분투노력하다: 분쟁, 다툼장수는 엄하면서 부하를 사랑하여야 한다. -손자병법 고통을 주지 않는 것은 쾌락도 주지 않는다. -몽테뉴 오늘의 영단어 - indefinite : 무한정, 무기한오늘의 영단어 - sophomore : 2학년 학생, 2년생: 유치한오늘의 영단어 - vaucher : 증명자, (거래)증빙(서), (현금대용의) 상환권, 상품권오늘의 영단어 - plum blossom : 매화꽃Lock the stable door after the horse has been stolen [has bolted].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